본문 바로가기

채식/베지테리언 상식

베지테리언에도 종류가 있다?

환경보호 차원에서, 동물보호 차원에서. 혹은 건강 문제로 채식을 도전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다. 그렇다면 채식을 시작하려는 초보 베지테리언은 무엇을 알아야 할까?

 

 

"베지테리언에는 종류가 있다."

 

 

 

허용하는 음식에 따른 채식주의 분류표 / 출처 : 위키독

 

 

 


 

1. 프루테리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과일과 견과류 등을 섭취하는 채식주의이다. 식물에 해를 끼치지 않는 부분만 먹는 극단적인 채식주의자. 비거니즘 실천 수단으로서의 '과실주의'를 주장하는 의견도 있다. 익은 열매만 먹기, 완전히 익어 땅에 떨어진 열매만 먹기 등 식물에 해를 끼치지 말자는 주장이다.

 

unsplash free 이미지

 

 

 

 



2. 비건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채식주의자이다. 
고기, 난류, 유제품 등 모든 동물성 식품 자체를 거부한다. 많은 전문가들은 비건 채식주의가 인간이 실제로 실천 가능한 채식주의라고 말한다. 흔히 '비건'이라는 용어는 동물권을 이유로 육식을 반대하는 사람들을 뜻하기도 한다. 동물권을 이유로 육식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대개 비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비건'이라고 하면 단순히 '채식주의자'라는 뜻을 말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물권자 채식주의자'를 뜻하는 경향이 강하다.

 

unsplash free 이미지

 

 

 

 


 


3. 락토 베지테리언

 

 


비건의 허용 품목에서 유제품만 더한 것. 오보와 달리 가금류의 알은 제외한다. 인도와 불교에서 일반적으로 일컫는 채식주의가 이것을 의미한다. 애초에 불교에서 육식을 금한 이유는 불살생계 때문인데, 우유와 치즈 같은 유제품은 동물을 죽여서 얻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unsplash free 이미지

 

 

 


 


4. 오보 베지테리언

 

 

비건의 허용 품목에서 "가금류의 알 (계란 등)으로 만든 제품" 만 더하면 오보가 된다. 락토-오보나 락토와 달리 유제품은 허용 품목이 아니다.

 

unsplash free 이미지

 

 

 


5. 페스코 베지테리언

 

 

영어 접두사 'pesce-', 'pesco-'는 '생선의-'라는 의미로, 라틴어로 물고기를 뜻하는 'piscis'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페스코 베지테리언(페스키테리언)은 일반적으로 고기라고 하는 것은 먹지 않으나어류

 

unsplash free 이미지

 

 

 



이 외에도 더 많은 종류의 베지테리언들이 있다. 이제 갓 채식을 시작하려는 채린이(채식어린이)들은 자신의 목적이 무엇인지, 동물보호와 자연보호를 위한 것인지, 건강을 위한 것인지 등. 목적에 맞춰 채식의 범위를 정하면 좋을 것 같다. 무작정 "나는 채식할 거니까 풀만 먹어야지!"라는 생각보다는, 목적에 맞는 채식을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오래 지속할 수 있을 것이다.